OAK

2015~2024년 한국산업보건학회지 게재 논문의 분석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위생 분야의 학술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지원 정책 수립 및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산업위생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지인 『한국산업보건학회지』에 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게재된 474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평균 논문 게재 수는 약 47.4편이며, 코로나-19 영향이 있었던 2020년에는 40편으로 가장 적었고, 2015년에는 58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분야별로는 유해인자 측정·평가 분야가 전체의 31.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어 건강영향 및 직업병(25.1%), 법·제도 및 정책(13%), 작업환경 개선 및 안전보건관리(12%), 산업재해 및 사고 분석(3.4%), 기타(15%)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위생의 5대 유해요인 관련 논문은 총 373편(79%)으로, 이 중 화학적 요인이 249편(67%)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물리적 요인(10%), 생물학적 요인(6%), 육체적 부담요인(10%), 정신적 부담요인(8%) 순이었다. 전체 유해요인 관련 논문 중 56%는 측정 및 분석에 관한 연구, 9%는 개선 연구, 35%는 기타 주제로 분류되었다.
각 요인별 세부 분석 결과, 물리적 요인에서는 방사선(52%), 소음(25%)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선 연구는 전체의 5.3%에 불과하였다. 화학적 요인의 경우, 입자상 물질 관련 논문이 43%, 가스상 물질이 31%를 차지하였고, 그 중 분진(69%)과 유기용제/휘발성 유기화합물(64%) 관련 주제가 다수를 차지했다. 화학적 요인 관련 연구도 개선 연구 비중은 8.4%에 불과하였다. 생물학적 요인 관련 논문은 세균(51%), 진균(26%), 바이러스(18%) 순이며, 측정(40%), 개선(31%) 등의 주제로 나뉘었다. 육체적 부담요인은 근골격계 관련 주제가 64%를 차지했으며, 개선 관련 연구는 7%에 머물렀다. 정신적 부담요인은 스트레스(53%)와 우울·불안(23%)이 주요 주제로, 대부분이 측정 연구(72%)에 집중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주저자의 소속기관을 분석한 결과, 대학(54%)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어 공공기관(30%), 민간(12%), 비영리기관(3.8%), 병원(0.8%)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산업위생 연구는 측정·분석 중심의 경향이 강하며, 개선과 개입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함이 확인되었다. 향후 산업위생 연구의 균형적 발전과 정책적 개입을 위한 연구지원 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한국산업보건학회지, 산업위생, 산업보건 연구동향, 연구주제, 연구추세
Author(s)
윤희영
Issued Date
2025
Awarded Date
2025-08
Type
Thesis
Keyword
한국산업보건학회지산업위생산업보건 연구동향연구주제연구추세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53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기계시스템공학과
Advisor
박두용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기계시스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