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2014~2023년 밀폐공간 사고사례의 업종 및 작업유형별 특성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총 174건의 밀폐공간 재해 사례를 대상으로, 업종, 작업유형, 공간 특성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재해의 주요 특성과 경향을 분석하였다. 전체 사고 중 사망사고는 98건(56%)으로 총 136명의 사망자와 53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으며, 부상사고는 76건(44%)으로 149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사망사고의 경우 사고 1건당 평균 1.4명의 사망자와 0.5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부상사고는 평균 1.9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연도별, 업종별, 공간유형별로 사망사고와 부상사고의 발생 양상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피해의 정도가 업종이나 작업보다는 사고 당시 산소 결핍 및 유해가스 농도 등 환경적 요인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았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밀폐공간 재해는 사망 및 부상 여부를 구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대응하는 것이 보다 실효성 있는 예방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에서 가장 많은 재해가 발생하였으며, 시공 과정 중 발생한 사고가 전체 건설업 재해의 54%를 차지하였다. 특히 이 중 절반 가까이는 갈탄을 사용하는 양생작업 중에 발생하였으며, 이는 고온과 산소 결핍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고위험 작업으로 판단된다. 유지보수 작업 중에도 다양한 유형의 작업에서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는 특정 작업보다는 밀폐공간이라는 환경적 특성 자체가 주요 위험 요인임을 보여준다. 제조업에서는 총 45건의 밀폐공간 재해가 발생하였고, 이 중 13건(29%)은 화학물질 저장설비와 관련되어 있었으며, 나머지는 다양한 밀폐공간에서 발생하였다. 작업유형으로는 청소, 점검, 용접, 도장, 폐수처리 등 설비 유지 관련 작업으로 다양하게 나타나, 밀폐공간 재해는 작업유형보다는 밀폐공간 특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의사업에서는 총 35건의 사고가 발생하였고, 이 중 23건은 사망사고였다. 대부분은 유지보수, 점검, 청소 등 일상 작업 중 발생하였다. 농업 분야에서는 12건의 재해 중 8건이 양돈농가에서 발생하였고, 유해가스는 황화수소로 추정되었다. 이는 사료 내 황 성분이 분해되어 밀폐된 돈사 내에 가스가 축적된 결과로, 축산업 밀폐공간에 대한 집중적 예방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운수·창고·통신업(7건), 광업(3건), 금융·보험업, 어업, 축산업에서 각각 1건씩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일부 업종은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할 밀폐공간과 특정 작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집중 관리대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많은 경우 특정 공간이나 작업유형으로 특정되지 않아 업종이나 작업유형과 무관하게 밀폐공간에 대해서는 반드시 작업 전에 산소, 유해가스 등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밀폐공간 재해, 산소결핍 장소, 산소결핍, 황화수소, 밀폐공간 특성|This study analyzes 174 confined space accident cases that occurred in Korea over a 10-year period from 2014 to 2023,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fined spaces and types of work involved. Of the 174 cases, 98 (56%) involved fatalities, resulting in 136 deaths and 53 injuries, averaging 1.4 deaths and 0.5 injuries per fatal incident. In contrast, 76 cases (44%) involved only injuries, totaling 149 injured individuals, or 1.9 injuries per incident. The annual and industry-wise patterns of both fatal and non-fatal accidents were highly similar, suggesting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talities was likely due to differences in oxygen deficiency or toxic gas concentrations rather than the type of industry or space. Thus, confined space accidents should be analyzed collectively, regardless of whether they result in death or injury.

By industry, construction accounted for the highest number of cases: 34 fatal and 35 non-fatal. Among these, 54% occurred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and 46% during maintenance of existing structures. Notably, 49% of construction-phase incidents were associated with curing processes using lignite. Other tasks included inspection, welding, replacement, drainage, and maintenance. This indicates that lignite-based curing during construction is a high-risk activity requiring special safety management. For maintenance tasks in existing buildings (32 cases), the accident types were widely distributed across 22 different tasks, emphasizing that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onfined spaces, rather than specific work types, are the primary hazard.

In manufacturing, 45 cases were reported—20 fatal and 25 non-fatal—making it the second most affected sector. Of these, 13 cases (29%) occurred in chemical storage spaces, with the rest in other confined environments. Tasks included cleaning, inspection, material removal, and welding, again showing that space characteristics posed a greater risk than the specific work being performed.

Other service industries recorded 35 accidents, including 23 with fatalities. A wide variety of tasks were performed at the time of these incidents. In agriculture, 12 cases were reported, of which 8 occurred on pig farms. The toxic gas involved was presumed to be hydrogen sulfide, likely due to high sulfur content in feed, highlighting the need for focused safety education in the livestock sector, particularly pig farming. Additional sectors affected included transportation/storage/telecommunications (7 cases), mining (3), and finance, fishing, and animal husbandry (1 case each).

【Keywords】confined space, fatal accidents, characteristics of confined space accidents, oxygen deficiency, hydrogen sulfide,
Author(s)
김성규
Issued Date
2025
Awarded Date
2025-08
Type
Thesis
Keyword
밀폐공간 재해산소결핍 장소산소결핍황화수소밀폐공간 특성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47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기계시스템공학과
Advisor
박두용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기계시스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