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한 AI 뷰티 플랫폼 사용자 행동 연구
- Alternative Title
-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의 매개효과 검증
- Abstract
-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utting-edg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rapidly integrating into society and the economy, and in particular, the growth of AI beauty platform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convergence of the beauty industry and digital technology since the COVID pandemic. As a requirement for this change, beauty tech, which integrates technology into consumers' digital shopping activities, has grown rapidly in the beauty industry in recent years.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on users who accept rapidly changing beauty tech technologies and continuously use AI beauty platforms, recogniz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as a means of positive change in life. However, research on users who use this platform for social purposes as members of society is still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latform as members of society and examined how subjective beliefs about the AI beauty platform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latfor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Seoul, the metropolitan area, and other regions, and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beauty-related departments, beauty workers, the general public, and those with experience using the AI beauty platform. The results of analyzing a total of 518 data using the SPSS Ver. 28.0 statistical package are as follows.
First, soc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soc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Third,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Fourth, perceived ease of u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Fifth, soc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Sixth, perceived usefulnes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factors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Seventh, perceived ease of us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factors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Users use AI beauty platforms due to social factors such as image, visibility, and suit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hich are subjective beliefs of users for continuous use, are important academic variables in analyzing intention to continue use. In the beauty industry, it is necessary to design services so that users of AI beauty platforms can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other members of society within their social system by considering the social factors they have. This is possible by providing users with the belief that they can continuously use the AI beauty platform technology to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and the positive experience that the AI beauty platform is not difficult to use. If this subjective belief is strengthened, users will not feel burdened in accepting new innovative technologies or services, and will eventually be more likely to continue using the AI beauty platform.|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사회·경제 전반에 융합되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뷰티산업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으로 AI 뷰티 플랫폼의 성장세가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요건으로 최근 몇 년간 뷰티 업계에서는 소비자의 디지털 쇼핑 활동에 기술을 접목한뷰티테크가 가파르게 성장하였다.
급격히 변화하는 뷰티테크 기술을 수용하며 AI 뷰티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지능정보기술과 서비스를 삶의 긍정적 변화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목적을 위하여 이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사용자가 갖는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AI 뷰티 플랫폼에 대해 가지고 있는 주관적 신념이 지속사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수도권, 기타지역으로 구분하여 뷰티 관련 학과 대학생 및 뷰티 종사자, 일반인, AI 뷰티 플랫폼을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표본을 수집하였다. 총 518부의 자료를 SPSS Ver 28.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요인이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요인이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된 유용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된 용이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요인이 지속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 요인과 지속사용의도간의 관계에서 인지된 유용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사회적 요인과 지속사용의도간의 관계에서 인지된 용이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사회적 요인인 이미지와 가시성, 적합성에 의해 AI 뷰티 플랫폼을 이용하며,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주관적 믿음인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은 지속사용의도를 분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학술적 변수임을 알 수 있다. 뷰티산업에서는 AI 뷰티 플랫폼 사용자가 갖는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여 그들이 갖는 사회시스템 내에서 다른 사회 구성원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서비스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AI 뷰티 플랫폼의 기술을 사용하여 업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믿음과 AI 뷰티 플랫폼의 사용이 어렵지 않았다는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주관적 신념이 강화될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혁신 기술이나 서비스를 수용하는 데 부담을 느끼지 않고, 결국 AI 뷰티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 Author(s)
- 이나현
- Issued Date
- 2025
- Awarded Date
- 2025-08
- Type
- Thesis
- Keyword
- AI 뷰티 플랫폼; 기술수용모형(TAM); 이미지; 가시성; 적합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지속사용의도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43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