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학생의 자기 주도 학습을 위한 쓰기 교재 설계 방안 연구
- Alternative Title
- 내용 보호 모형을 중심으로
- Abstract
- 본 연구는 중학교 다문화 학생을 위한 자기 주도 학습 기반 한국어 쓰기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내용 중심 교수법과 자기 주도 학습을 적용한 연구는 그 적용 범위나 학습자의 연령 측면에서 제한적이라는 한계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내용 중심 교수법 중에서도 내용 보호 모형에 주목하고, 이를 자기 주도 학습 이론과 접목하여 쓰기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총 다섯 장으로 구성되며, 이론적 고찰과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다문화 학생의 쓰기 능력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들에게 자기 주도 학습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았으며 내용 중심 교수법 중에서도 내용 보호 모형을 중심으로 교재 설계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후 실제 중학교 다문화 학생과의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표준 한국어> 교재의 쓰기 활동과 자기 주도 학습 요소를 분석하여 기존 교재의 한계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를 반영한 쓰기 중심 교재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단원 구성과 활동 예시를 통해 구체적인 실현 방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다문화 학생을 위한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내용 보호 모형을 기반 교재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려 하였으며, 아울러 자기 주도 학습 관점을 반영한 교재 개발을 통해 학습자의 주체적 학습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다문화 학생, 한국어 쓰기 교육, 내용 중심 교수법, 내용 보호 모형, 자기 주도 학습, 교재 개발|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based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middle school age.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focused o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research applying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s or self-directed learning was limited in terms of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the age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nt protection model among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s and attempted to apply it to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it with self-directed learning theory.
The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five chapters, and a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urrent status analysis. First,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were reviewed,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textbook design was prepared focusing on the content protection model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ory. After that, through interviews with actual middle school multicultural students, the needs of learners were identified, a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extbook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writing activ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elements of the textbook. Based on this, a writing-oriented textbook design plan reflecting the learner's level and needs was presented, and a specific direction of realization was explored through unit composition and activity examp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age and shows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content-based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it proposed a plan to strengthen learners' subjective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reflecting a self-directed learning perspective.
Keywords: Multicultural students, Korean writing education,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s, content protection models, self-directed learning, textbook development
- Author(s)
- 최혜성
- Issued Date
- 2025
- Awarded Date
- 2025-08
- Type
- Thesis
- Keyword
- 다문화 학생; 한국어 쓰기 교육; 내용 중심 교수법; 내용 보호 모형; 자기 주도 학습; 교재 개발
- URI
-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421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