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K

한국전통정원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현대적 응용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풍수란 땅과 공간의 활용에 관한 동양의 전통적인 자연환경의 해석논리로서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인간의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상이다. 풍수는 크게 양택풍수와 음택풍수로 구분되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도참사상의 영향으로 궁궐과 사찰, 그리고 주거지의 택지(擇地)에 관한 양택 풍수를 중심으로 이론연구와 적용이 이루어 졌다. 조선시대로 오면서 궁궐과 상류층 민가주택, 그리고 서원과 사찰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원양식이 출현하면서 정원조영에 전통사상과 함께 풍수지리 이론이 적극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정원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각 나라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시대의 문화와 사상이 종합적으로 응집된 종합적인 자연 예술이다. 따라서 시대적 문화와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정원의 공간구조와 조성원리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궁궐을 중심으로 상당한 수준의 정원문화가 발달하였고 정원조영에 신선사상을 비롯한 다양한 전통사상이 반영 되었다. 한국의 전통정원의 조원사상과 배경을 살펴 본 결과 한국의 전통정원 조성에 있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중심적 사상과 조원원리는 풍수지리 사상과 음양 오행원리이다.
전통정원의 유형별로 조원의 배경사상과 원리를 살펴보면 궁원과 민가정원에는 풍수사상과 음양오행사상이, 별서정원은 신선사상이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서원정원에는풍수사상과 유교사상, 사찰정원에는 불교적 정토사상과 풍수지리이론이 주로 적용 되었다. 오늘날 풍수지리이론이 정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그 이론의 유용성을 인정받아 많은 부분에서 풍수이론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통정원의 건축물과 정원의 공간구조와 기법, 그리고 그 배경사상과 원리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 져 왔으며 전통계승의 차원에서 전통정원의 재현과 응용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와 응용사례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정원의 공간구조와 구성요소에 대한 풍수적 해석을 통하여 친환경 자연관에 바탕을 두고 있는 전통정원의 생태적 가치와 의미를 찾아보고 아울러 풍수지리가 생태정원의 설계에 있어 이론적 토대와 실질적인 디자인 툴로서 사용 가능함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먼저 전통정원의 유형별로 대표적인 정원을 선택하여 정원의 공간구조와 조영요소를 살피고 그 안에 어떤 사상과 풍수원리가 반영되어 있는지 현장답사와 기존의 연구문헌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전통정원은 첫째, 정원의 유형과 형태에 관계없이 생태적 조원기법을 토대로 자연에 대한 순응과 조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생태적 사유(思惟)와 자연 질서에 대한 동화(同化)를 기본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둘째, 전통정원의 조원원리와 배경사상은 전통적 자연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풍수지리와 음양오행원리가 중심원리로 적용 되였다. 셋째, 풍수는 자연을 의인화 하여 살아 있는 생명체로 인식하는 이론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는 자연구성 요소를 생태적 관점에서 전체적인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환경관리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풍수지리의 자연관은 전통정원에 반영된 풍수이론과 원리를 오늘날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생태적 환경설계의 이론적 토대와 설계tool로서 적극 활용해야 한다. 아울러 풍수지리 이론의 합리성과 적합성을 확보하고 풍수지리가 동양의 전통적인 환경심리학이며 자연지리과학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사회적 인식변화와 더불어 체계적인 이론의 정립과 실증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주요어】풍수지리, 생태풍수, 전통정원, 전통자연관, 환경과학
Author(s)
오성탁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02
Type
Thesis
Keyword
풍수지리풍수정원전통정원
URI
http://dspace.hansung.ac.kr/handle/2024.oak/10134
Affiliation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Advisor
박시익
Degree
Master
Publisher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Appears in Collections:
풍수지리전공 > 1. Thesis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